22 베이직 챌린지
Day2) String & String 보간법 / 타입 선언방법 + 알고리즘
DongTaTo
2022. 1. 4. 15:47
반응형
String
스위프트에서 문자열(String)은 다양한 관련 함수들을 사용할 수 있다.
- 기본 속성
- 문자열 길이 확인 : .count -> Int
- 특정 문자 포함되었는지 확인 : .contain() -> Bool
- 빈 문자열인지 확인 : isEmpty -> Bool
- 문자열 이어붙이기
- +
- appending : 새로운 문자열을 생성
- append : 기존 문자열에 내용 추가
-
// + 연산자 let aString: String = "Aa" let abString: String = aString + "Bb" // AaBb // appending - 새로운 문자열 생성 let hi: String = "Hi" let hiHello: String = hi.appending(" Hello") // Hi Hello // append - 기존 문자열에 내용 추가 var chicken: String = "Chicken" chicken.append(contentsOf: " Pizza") // Chicken Pizza
- 특정 문자열 치환하기 : replacingOccurrences(of: with:)
-
let someString: String = "ABCDE" let replacedString: String = someString.replacingOccurrences(of: "ABC", with: "abc") // abcDE
-
- 문자열 분리하기
- components(separatedBy: ) : [String] 반환
- split(separator: ) : [Substring] 반환
-
let someString: String = "A B C D E" let components: [String] = someString.components(separatedBy: " ") // ["A", "B", "C", "D", "E"] let split: [Substring] = someString.split(separator: " ") // ["A", "B", "C", "D", "E"]
- 고차함수 사용 가능
-
let someString: String = "ABCDE" let map: [String] = someString.map({$0.lowercased()}) // ["a", "b", "c", "d", "e"] let filter: String = someString.filter({$0>"C"}) // DE
-
- 문자열 ↔ 배열 변환
- 문자열 → 배열 :
- map()
- Array(문자열)
-
// 문자열 -> 배열 let someString: String = "ABCED" let map: [String] = someString.map({String($0)}) let arr: [String.Element] = Array(someString)
- 배열 → 문자열 :
- joined()
- reduce()
-
// 배열 -> 문자열 let someArray: [String] = ["a", "b", "c", "d"] let joined: String = someArray.joined(separator: "") // abcd let reduce: String = someArray.reduce("", +) // abcd
- 문자열 → 배열 :
- 문자열 보간법 : 변수, 상수 등의 값을 문자열에 나타낼때 사용
- 문자열 내부에 \() 키워드를 사용하여 변수, 상수를 입력함
-
let pizza: String = "피자" print("\(pizza) 먹고싶다.") // 피자 먹고싶다.
타입 선언방법
타입선언은 변수나 상수를 선언할 때 Data Type을 명확하게 지정해 주는 것
swift에서는 타입을 명확하게 선언하지 않아도 컴파일러가 자동으로 타입을 추론하여 Data Type을 지정해줄 수 있다.
타입추론으로 Data Type이 지정된 변수의 Type을 알고싶으면 option키 누르고 변수를 클릭하면 나옴
// 명시적으로 타입선언
let stringValue: String = "abc"
// 타입추론
let intValue = 123 // Int
let arrayValue = [1, 2, 3] // [Int]
알고리즘
<백준>

<프로그래머스>
https://co-dong.tistory.com/entry/K번째-수?category=1033755
K번째 수
K번째수 배열 array의 i번째 숫자부터 j번째 숫자까지 자르고 정렬했을 때, k번째에 있는 수를 구하려 합니다. 예를 들어 array가 [1, 5, 2, 6, 3, 7, 4], i = 2, j = 5, k = 3이라면 array의 2번째부터 5번째까지..
co-dong.tistory.com
반응형